▼ 정보공간 ▼/★.그때 그시절

[스크랩] 최초의 성냥

朴正培(박정배) 2010. 7. 20. 07:21

 

개항 3년째인 1886년 외국인들의 주선에 의해

동구 금곡동에 최초의 성냥공장이 세워졌다.








 





시대에 밀려 잊혀져 가는 인천에 성냥공장 노래 알지요.


성냥공장 아가씨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원 노래를 변경해서 남보원이 민요로 부르내요.

지난 80년대 이전까지 군대에서 사병 생활을 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알고 있는 노래입니다.



물론 정식 군가는 아니고

진중가요라고도 할 수 없는 통속적인 노래지요..

이 곳에 소개하기가 민망할 정도로 저속한

그 노래의 노랫말은 이렇게 시작됩니다.

군대 안갔다온 사람은 잘 모르는데... ㅋㅋㅋ



인천의  성냥공장

성냥공장 아가씨

하루에도 한 갑 두 갑

일년에 열두 갑

치마 밑에 감추고서

정문을 나설 때

치마 밑에 불이 붙어…



노랫말의 내용은 인천에 있는 성냥공장 아가씨가

치마 밑에다 몰래 성냥을 감추고 나오다가

불이 나서 경을 쳤다는 내용입니다.


성적으로 한창 왕성한 시기에

사회에서 격리되어 있던 사병들인지라

약간의 외설성이 담긴 이런 노래가

불려진 것은 이해가 가지요.



불현듯 그 노랫말이 떠오르면서

새삼스럽게 몇 가지 의문이 떠올랐다.




백과사전을 찾아보니 그 의문이 대부분 풀렸습니다.

우리 나라에 성냥이 보급된 경로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어요..



1880년 개화승(開化僧) 이동인(李東仁)이

일본에 갔다가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과

동행 귀국할 때  처음으로 성냥을

가지고 들어왔으나



일반에게 생활용품으로 대중화하기는

국권피탈 후인 1910년대에

일본인들이 인천에 조선성냥[朝鮮燐寸]을

설립한 것을 비롯하여 군산·수원·영등포·마산·

부산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판매함으로써

가정용으로 보급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국인에게는 공장설치도 일체

허가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기술도 배우지 못하게 하여 한국 시장을

독점하고서는 성냥 1통에 쌀 1되라는

비싼 값으로 판매하였습니다.


1945년 8·15광복 후 처음으로 한국 사람의

손으로 인천에 대한성냥을 비롯하여 전국에

300여 개의 수공업 형태의 공장이 설립되어

월간 400만 포의 성냥을 생산 공급하게 되었으며

한국전쟁 후에는 150여 개 업체로 정리되었고

1970년대부터 자동화시설로 전환함에 따라

업체 규모의 대형화로 업체수가 20개로

감소되었다. (이상 네이버 백과사전)



즉, 우리 나라 최초의 성냥공장은 일본인이

인천에 세운 조선성냥이고

일본인들은 성냥의 독점화를 위하여

조선인의 기술 습득을 막았다.

그로 인해 일제 강점기 때는 성냥 한 통이

쌀 1되였다고 합니다.


한국인이 세운 최초의 성냥공장도 인천의

대한성냥이었고 성이 자동화시설을 갖추고

대형화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였습니다.

또한  우리 나라는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70년대 이전까지

국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했지요.



소득 수준이 낮았으니 국민 대부분이 돈이

없었고 소비도 많지 않았습니다.

신발도 짚신을 신거나 집 주위에서는

맨발로 다닐 만큼 절약했고,

옷도 천을 사다가 집에서 해 입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군것질은 보통 사람에게는 사치였고,

외식이란 말 자체가 없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러나 절약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바로 성냥이었다고 하네요.



전기가 일상화 되기 전인 1970년대 이전까지도

매일 불 (포불, 등잔불, 촛불 등)을 켜기 위해

성냥이 있어야 했고 전기 밥솥이 없으니 밥을

짓기 위해서도 성냥이 있어야 했으며

라이터가 귀한 시절이니 담뱃불도 성냥이었습니다.



즉, 성냥은 집집마다 반드시 소비해야하는

당시로서는 불황이 없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던 아주 중요한 물건이었지요.


지금은 나이터 죽여줘요.

옛날에 지금과 같은 나이터가 나왔으면

쌀 한가마니 주고도 살거요.



 



출처 : 너에게 편지를
글쓴이 : 동산마술사 원글보기
메모 :